콩고민주공화국의 수도 킨샤사 거리에 '베토벤 바이러스'가 퍼져나가고 있다! 80년 간 벨기에의 식민지였고, 1960년대 이후 분쟁과 내전의 상처로 얼룩진 땅, 콩고. 수도 킨샤사에서 활동하는 킴방기스트 225명의 단원들이 가난하고 배고픈 이들을 위해 거리로, 시장으로, 장소를 불문하고 직접 찾아가 클래식을 들려준다. 가난을 이겨내고 모인 킴방기스트 관현악단 225명이 연주하는 감동의 멜로디를 W에서 들어본다
배고픈 사람들을 위한 하모니
콩고민주공화국의 수도 킨샤사에서 활동하는 오케스트라 단원들을 만나기 위해 W제작진이 찾아갔다. 기존에 있던 악기를 뜯어 이를 본떠서 악기를 만들어야 될 정도로 단원들의 형편은 어려웠지만 음악에 대한 열의로 가득했다. 각자 바이올린, 비올라, 클라리넷 등 자신이 맡은 악기를 들고 연습하는 단원들. "전 음악과 함께 자랐어요. 음악은 제 열정입니다."(단원) 전문적으로 악기를 다루는 법을 배우지 못한 단원들, 그러나 그들은 사뭇 진지한 얼굴로 악기를 연주했다. "음악과 클래식을 사랑하는 걸 따라올 사람이 없죠. 가난도 열정을 막을 순 없어요."(단원)
바게트 빵을 팔아 하루를 살아가는 첼로 연주자, 하루 종일 힘들게 풀을 베어 생활하는 바이올린 연주자, 오락실을 운영한 돈으로 음악활동을 이어나가는 트럼펫 연주자까지. 이들은 대부분 배고프고 가난하지만 음악에 대한 열정만큼은 여느 오케스트라 단원들 못지않았다.
클래식 음악이 가진 힘 -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다
내전과 분쟁의 상처로 얼룩진 콩고에서 클래식 연주가 가장 행복하다는 킴방기스트 225명의 단원들. 그런데 그들은 실제로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은 적이 없었다. "초등학교 3학년까지 학교를 다녔죠. 전쟁으로 집은 엉망이었고, 더 이상 할 수 있는 건 없었어요."(부씬도 단원) 팡파르 악단에서 트럼펫을 다뤘던 부씬도의 아버지는 전쟁 중 반군에 의해 죽음을 맞이했다. 이 후 부씬도는 킴방기스트를 들어와 클라리넷을 불게 되었던 것. "클라리넷을 불 때면 아버지가 생각나요."(부씬도) 음악을 통해 가난으로 인한 고통을 잊고 꿈을 키워나가는 부씬도. 그는 다시 클라리넷을 들고 불기 시작했다. 킴방기스트 관현악단 225명이 모여 만들어내는 클래식은 밤늦도록 계속 되었다. 그들이 만들어내는 선율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선사했다. "그들의 음악을 들으면 행복해져요."(시민)
잦은 분쟁과 내전으로 불안과 고통에 시달리는 콩고 민주화공화국, 수도 킨샤사에 울려 퍼지는 감동의 하모니! 음악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한 225명의 단원이 만들어내는 아름다운 클래식의 향연
출처 : MBC 김혜수의 W
http://vodmall.imbc.com/genre/genre_program.aspx?progCode=1000837100000100000
김혜수W 다시보기를 참고하세요.
############################################
Beethoven virus is spreading on Kinshasa street of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A land that was colonized by Belgium for 80 years, stained by conflicts and civil wars since the 1960s, the Congo. The 225 members of Kim Bangui, who work in Kinshasa in the capital, visit the streets, markets, and places for the poor and hungry and tell the classics. Listen to the melody of the impressive melody played by 225 Kim Bangui Orchestra's orchestra gathered over the poverty
Harmony for hungry people
The W crew members visited the orchestra members in Kinshasa, the capital of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It was difficult for the members of the musical instrument to make a musical instrument, but it was full of enthusiasm for music. Each of them has a violin, viola, and clarinet, and they practice with their instruments. "I grew up with music, music is my enthusiasm." (Unit) Members who did not learn how to deal with instruments professionally, but they played musical instruments with a serious face. "There is no one who comes to love music and classics, and poverty can not stop the passion."
A cellist who sells baguette bread for a day, a violinist who lives hard all day, and a trumpeter who continues his musical activities by running money in a game room. Most of them were hungry and poor, but their enthusiasm for music was no different than any orchestral unit.
The power of classical music - healing the wounds of the heart
Kim Banguist, a member of the 225-member group, says that classical music is the happiest in Congo, which is stained by civil wars and disputes. However, they had never actually received proper education. "I went to school until the thi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house was a mess, and there was nothing I could do anymore." (Dept.) Dean's father, who dealt with trumpets in the fanfare band, did. After that, the singer entered Kim Banguist and played the clarinet. "When I play the clarinet, I remember my father." (Though it is). He took the clarinet back and started to blow. Kim Bangui Orchestra's 225-class classical ensemble continued late at night. The melody they created gave the audience a touch. "I am happy when I listen to their music." (Citizen)
Harmony of emotions resonating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the capital Kinshasa, suffering from anxiety and suffering due to frequent conflicts and civil wars. A beautiful classical feast created by 225 members filled with passion for music
Emoticon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