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에게 가장 오래 된 작물 중 하나인 목화. 말리는 해마다 100톤이 넘는 목화를 생산해온 아프리카 최대 생산지다. 말리 사람들에겐 오래전부터 풍요의 상징이자 ‘백색금’이라고 불린 목화. 그런데 최근 말리에서는 목화재배를 포기하고 떠나는 농민들이 늘고 있다. 아버지의 아버지 대부터 이어져 내려온 목화산업에 무슨 일이 생긴 것일까?
끝을 모르는 목화 시세의 폭락, 빚더미에 허덕이는 농민들
순백색의 목화들로 수확이 한창인 말리로 W 제작진이 찾아갔다. 수도 바마코 근처 농촌마을에서는 흥겨운 노동요가 울려 퍼지고 있었다. “목화는 우리 삶에 많은 부분을 해결해주는 수단이죠.”(농민) 말리 경제를 지탱해주는 목화 수확에 즐거워야 할 그들의 얼굴에는 그늘이 드리우고 있었다. “예전엔 이 방은 솜으로 가득 찼어요, 하지만 작년에 소 열 마리를 모두 팔아버려서 혼자 손으로 작업하고 있어요.”(농민) 목화 값은 1980년대만 하더라도 일 킬로그램에 3달러였지만 2007년 기준으로 가격은 0.39달러로 떨어져버린 것이다! 그에 비해 목화 재배를 위해 필요한 비료 가격은 80퍼센트 이상 올랐다. 천정부지로 솟은 비료 값을 감당하기 어려워진 농민들은 결국 2005년 이후 3분의 1 이상이 농사를 포기했고, 현재도 다른 직업을 찾아 떠나고 있다.
목화의 이면에 숨겨진 세계화의 그늘
말리 목화산업이 위기에 처하게 된 이유 중 하나는 세계화였다. 전 세계 목화 수출액의 40퍼센트를 차지하는 미국은 목화가격의 100퍼센트에 달하는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싼 미국산 목화가 시장에 쏟아지자, 전 세계 목화 값은 폭락해버린 것이다. 결국 최빈국들에게는 큰 타격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타격을 가장 먼저 입은 인도의 경우, 시장개방 이후 부채로 인해 자살한 농민만 18만 명! 또한 30만 명의 목화 재배 농민 중 90퍼센트에 달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빚에 시달리고 있다.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생계를 유지해주는 일자리를 잃어버린 채 고통 받고 있는 말리 목화재배 농민들의 비참한 삶과 현실
출처 : MBC 김혜수의 W
http://vodmall.imbc.com/genre/genre_program.aspx?progCode=1000837100000100000
김혜수W 다시보기를 참고하세요.
############################################
Cotton, one of the oldest crops in human history. Mali is the largest producer of cotton in Africa, producing more than 100 tons of cotton each year. For the people of Mali, long ago, a symbol of abundance and cotton called 'white gold'. In recent years, however, the number of farmers abandoning cotton cultivation has increased in Mali. What has happened to the cotton industry, which has been driven from his father's father?
Endless cotton prices plummet, farmers in debt
The Mali W production crew visited the harvest of pure white cotton. In rural villages near the capital Bamako, there was an exciting labor call. "Cotton is a means of solving a lot of our life" (farmers). Their faces were shaded in their faces, which should be enjoyed in the cotton harvest that supports the Mali economy. "In the past, this room was full of cotton, but last year I sold all ten of them and I'm working on my own." (Farmers) Cotton prices were $ 3 per kilogram in the 1980s, Was down to $ 0.39! In contrast, the price of fertilizer needed for cotton cultivation rose by more than 80 percent. Farmers who have been unable to cope with fertilizer prices that have risen to the top of their ceilings have eventually abandoned more than a third of farms since 2005, and are still leaving for another job.
The shade of globalization hidden behind cotton
One of the reasons the Mali cotton industry was in crisis was globalization. The United States, which accounts for 40 percent of cotton exports around the world, pays 100 percent of cotton prices. As a result, cheaper US cotton was poured into the market, and cotton prices around the world plummeted. In the end, it will be a big blow for the poorest countries. In the case of India, which was hit first, only 18 million farmers who committed suicide due to debt after opening the market! In addition, 90 percent of the 300,000 cotton farmers are still in debt.
The miserable life and reality of Mali cotton farmers suffering from the loss of jobs to sustain their living in the wave of globalization
Emoticon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