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부엉이를 촬영하기 시작한 것은 2005년도부터다. ‘자연다큐멘터리-고라니의 사랑’을 제작하던 중에 고라니 새끼를 사냥할 수 있는 동물은 무엇이 있을까 하는 궁금증에서 수리부엉이를 찾아 나서게 됐다. 우리나라에서 고라니 새끼를 사냥할 수 있는 동물은 삵과 너구리 정도.... 그런데 포유동물인 고라니를 날아다니는 조류가 사냥하는 경우는 없을까 하는 상상을 해 보았다.
네발 달린 짐승을 날개로써 제압한다!! 상상만으로도 그럴듯한 그림이다. 상상은 언뜻 보기에는 터무니없는 것 같을지 모르지만 현실이 되는 경우가 많다. 여러 문헌을 뒤져보고 수소문을 해 본 결과, 의외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고라니 새끼 정도 크기의 동물은 수리부엉이의 밥이다.’ 수리부엉이가 닭을 채가고 토끼를 사냥한다면 그것도 힘든 일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본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냥 추정할 뿐이다. 그때부터 수리부엉이를 알아가는 작업은 시작됐다.
야생에서 가능한 일이라면 관찰을 통해 확인하는 것뿐이다. 보통 자연다큐 제작기간은 1년 정도... 하지만 더 긴 기간을 설정했다. 최소한 1년 정도는 시간이 나는 대로 관찰하고 촬영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그리고 수리부엉이에 대해 충분히 알고 난 다음에 본격적인 촬영을 하기로 계획을 세웠다.
처음으로 수리부엉이를 만난 곳은 강화도의 한 마을... 그 2,30년 전에 둥지를 틀었다는 소식을 듣고 그곳을 올라가 보았다. 안내를 받아 접근하자 갑자기 양탄자가 날아가듯 엄청난 날갯짓을 하며 나는 것이 보였다. 둥지에는 오리 알보다 조금 더 큰 흰색 알 2개를 낭아 두었다. 포란하다가 인기척에 날아간 것이다. 한 동안 한번도 보지 못한 수리부엉이를 보았다는 기쁨에 뛰는 가슴을 주체할 수 없었다. 그게 2월 초였다. 이렇게 해서 수리부엉이에 대한 첫발을 내디뎠다. 그리고 수리부엉이의 행동에 대해 하나 둘 관찰, 기록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수리부엉이는 호락호락하지 않았다. 접근을 쉽게 허락하지 않았다. 마을 뒷산 바위지대에 살면서 사람과 접촉이 별로 없는 녀석이어서 그런지 다가가기만 해도 ‘부엉~부엉~’ 울어대는 것이다. 낯선 자를 경계하는 것이다.
그 후로 시화호 쪽에서 둥지 한 곳을 더 찾았다. 이미 새끼를 키우고 있는 상황이었는데, 이곳의 문제는 조명이었다. 웬만한 조명으로는 정상적인 화질을 얻기 힘들었다. 그 넓은 산을 밝히자면 10KW의 조명이 필요했다. 그래서 본격촬영을 들어갈 때는 별도의 전기시설을 해야만 했다.
출처 : KBS 밤의 제왕 수리부엉이
http://www.kbs.co.kr/1tv/sisa/eagleowl/vod/index.html
밤의 제왕 수리부엉이 다시보기를 참고하세요.
############################################
The Eagle Owl The Owl Eagle Owl
It was in 2005 that I started shooting the eagle owl. While making "Nature Documentary - Love of Elk", I wondered what animals would be able to hunt Elk. In Korea, the animals that can hunt elk chickens are 삵 and raccoon. However, I imagined that birds flying in mammals would be hunting.
The four-legged beast is suppressed with wings !! It is a plausible picture. Imagination may seem absurd at first glance, but it is often the case. As a result of examining various documents and conducting the questionnaires, we were able to obtain unexpected conclusions. 'The animal is about the size of an eagle's owl.' If a eagle catches a chicken and hunts a rabbit, it will not be too hard. But no one has seen. I just guess. From then on, the task of knowing the eagle owl started.
If it is possible in the wild, it is only through observation. Usually natural document production period is about one year ... but I set a longer period. At least for a year I decided to observe and shoot as soon as I can. And after I knew enough about the owl, I planned to shoot it in earnest.
The first time I met a horned owl was a village in Ganghwa Island ... I heard that I was nesting about two and a half years ago and I went up there. When I approached it, I suddenly saw a huge wing like a rug. In the nest, two white eggs, slightly larger than the ducklings, were slaughtered. It would have blown up in popularity. For a while I could not resist the pleasure of seeing a serpent owl that I had never seen before. That was early February. In doing so, he made his first step on the eagle owl. And I started to observe and record one of two things about the behavior of the owl.
But the eagle owl was not as good. I did not allow easy access. I live in a rocky area in the back of the village and I do not have much contact with people. It is to alert the stranger.
Since then I have found more places in Shihwa Lake. I was already raising a child, but the problem here was lighting. It was hard to get normal picture quality with reasonable lighting. To illuminate the wide mountain, 10KW of lighting was needed. So when I went into the full-scale shooting, I had to install a separate electric facility.
Source: KBS Nightwalking Owl
http://www.kbs.co.kr/1tv/sisa/eagleowl/vod/index.html
Please refer to the Owl Watching Owl of the Night.
Emoticon
참고: 블로그의 회원만 댓글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